카테고리 - 여행, 생활

제사상 처음 준비하는데 제사음식 종류 뭐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답변일
2025-10-14
조회수
5,350회
좋아요
19회
안녕하세요.
궁금하넷 지식답변 팀 입니다.
궁금하신 내용에 대해서 답변을 드립니다.

지역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제사 음식 종류를 크게 보면 탕국, 나물, 과자, 생선, 과일로 분류됩니다.

제사음식
젯메 - 흰 쌀밥을 주발에 소복하게 담는다.

갱 또는 메탕(반탕) - 쇠고기, 무, 다시마를 넣고 맑게 끓여서 청장(재래식 간장(국간장))으로 간을 하여 갱기나 탕기에 담는다.

삼탕 - 삼탕을 하려면 육탕은 쇠고기와 무, 봉탕은 닭고기, 어탕은 북어, 다시마, 두부를 주재료로 탕을 끓여서 건지만 탕기에 담는다.

삼적 - 육적은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두툼하고 크게 조각 내어 양념을 하고 꼬치에 꿰어 석쇠에 굽고, 봉적은 닭의 목과 발을 잘라 내고 배를 갈라서 펴고 찌거나 기름에 지지고, 어적은 숭어, 조기, 도미 등을 통째로 소금에 절였다가 굽는다. 삼적은 적틀에 한데 담을 때는 제일 아래에 어적, 그 위에 육적, 가장 위에 봉적을 담는다.
이는 바다에 사는 생선을 아래 놓고, 땅 위에서 네 발로 다니는 짐승을 중간에 놓고, 가장 위에는 하늘을 나는 짐승인 새 대신 날개 있는 닭을 놓는 것이다. 닭 대신 꿩을 굽기도 한다. 말하자면 하늘과 땅, 바다라는 우주의 이치를 나타내고자 한 것이며 산해진미를 다 차린다는 뜻을 지닌다. 적틀은 가로 24cm, 세로 15cm 정도의 장방형이다.

소적 - 삼적에 포함시킬 수도 있으며 두부를 크게 저며서 노릇노릇하게 지져서 따로 한 그릇을 담는다.

향적 - 파, 배추김치, 도라지, 다시마 등을 길게 썰어서 꼬치에 넓적하게 꿰어 밀가루즙을 묻혀서 기름에 지진다. 여러 장을 겹쳐서 썰어 한 그릇에 담는다.

간납 - 전유어를 말하는데 대구, 명태 등의 흰살 생선을 얇게 떠서 전을 지진다.

포 - 육포, 어포 등을 놓는다. 보편적으로는 북어포를 입 끝과 꼬리 부분을 잘라 내고 머리가 동쪽에 가도록 놓는다. 동해안 지방에서는 오징어를 놓기도 하고, 남쪽 지방에서는 대구포나 상어포를 올린다.

해 - 식혜의 밥알만 건져 제기 접시에 담고 위에 대추 조각을 얹는다. 젓갈 식해를 담던 풍습이 변한 것이다.

숙채 - 삼색으로 마련하는데 도라지나물(흰색)을, 고사리나 고비나물(갈색), 청채는 시금치(푸른색)를 삶아서 무친다. 한 접시에 삼색을 어울려 담는다.

침채 - 무, 배추, 미나리로 고추를 넣지 않고 나박김치를 담근다. 제물에는 화려한 색채나 장식을 쓰지 않고 고명을 얹지 않는다.

편(병) - 시루떡인 메편과 찰편을 높이 고이고 위에 경단, 화전, 주악 등의 웃기떡을 올린다. 시루떡의 고물로는 거피팥, 녹두, 깨고물 등을 쓰며, 붉은색 팥고물은 쓰지 않는다. 시루떡은 편틀 크기에 맞추어 썰어 가장자리를 직선으로 올리면서 쌓는다. 편틀의 가장 아래에 메편을 놓고 위에 찰편을 놓은 다음 웃기떡을 올린다.

과 - 대추, 밤, 감, 배, 계절 과일 순으로 놓으며, 조과는 유과, 다식, 정과를 3, 5, 7의 가짓수로 배열한다.

이상 지식답변 팀에서 답변드렸습니다.
답변이 맘에 드셨으면 [좋아요] 버튼을 눌러주세요.

댓글 19

    해드셋느낌표 궁금하넷 지식 BEST

    미국 서부 여행 가려고 하는데, 꼭 가봐야하는 곳들 좀 추천해주세요~

    no1icon 20

    저희 가족이 조개젓 젓갈을 너무 좋아하거든요 ㅎ 오랜만에 만들어줄까 하는데, 조개젓 젓갈 비리지 않고 진짜 맛있게 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집에서 직접 콩물 만들어 보려고 해요~ 콩 비리지 않게 잘 삶아서 콩물 만들기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풀무원 두부봉 샀는데, 이거 맛있게 먹는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미숫가루 몸에 좋다고 해서 아침 대용으로 매일 먹고 있거든요~ 근데 이거 어디에 좋은건가요? 미숫가루 효능 알려주세요.

    no1icon 20

    휴가 내고 국내 여행 한 번 가려고 하는데, 국내 여행 패키지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곳 알려주세요!

    no1icon 20

    쉬는 날 집에서 간단하고 맛있게 물곰탕 끓여보려고 하는데, 물곰탕 레시피 추천 부탁드려요!

    no1icon 20

    간재미무침 집에서 직접 해보려고 하는데, 실패 없이 맛있는 간재미무침 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백일홍 씨앗 직접 심고 베란다에 두고 키워보려고요~ 백일홍 잘 키우는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새송이버섯 장아찌 직접 만들어보려고요 ㅎ 실패 없고 맛있는 새송이버섯 장아찌 만드는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남자친구가집에 놀러온데요 ㅎ 밥 먹고 먹을 과일 예쁘게 플레이팅 하려고 하는데, 과일 플레이팅 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물을 많이 만져서 그런지 손바닥 습진이 생겼습니다.. 어떻게 관리해야할지 잘 모르겠는데, 손바닥 습진 관리 방법 알려주세요!

    no1icon 20

    아빠가 땅을 좀 사셔서 거기에 참두릅 묘목을 심어보신다고 하시는데, 제가 알기론 아무때나 심는게 아닌걸로 알고있거든요..?ㅋㅋ 참두릅 묘목 심는 시기랑 재배 방법 좀 알려주세요..!

    no1icon 20

    물고기 키우기 시작한지 몇 일 됬는데, 갑자기 달팽이가 보이더라고요...? 잘 보니까 물달팽이 같은데.... 얘를 죽이기엔 너무 불쌍하고 물고기랑 같이 키워도 되는걸까요..?

    no1icon 20

    뮤신이 여기저기 좋다고 많이 들었는데, 어디에 좋은건가요? 뮤신 효능 알려주세요.

    no1icon 20

    부모님이 적양파가 몸에 좋다면서 요즘 적양파즙을 챙겨드신다고 하시더라고요. 적양파가 어디에 좋은건가요? 적양파 효능 좀 알려주세요!

    no1icon 20

    시골에 땅이 좀 있어서 뭐 심어볼까 고민하다가 두릅나무 묘목 한 번 심어보기로 결정했어요. 두릅나무 묘목 심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no1icon 20

    다래순나물무침 만들어 먹으려고 하는데, 맛있게 만드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no1icon 20

    주말에 나물비빔밥 만들어 먹으려고요~ 나물비빔밥 맛있게 만드는 레시피 알려주세요!

    no1icon 20

    집이 오래돼서 그런가 꿉꿉하고 쾌쾌한 곰팡이 냄새가 나는 것 같아요..! 냄새 없애야 할 것 같은데, 효과적인 곰팡이 냄새 제거 방법 좀 알려주세요!

    no1icon 20

    해드셋느낌표 유사한 질문 LIST

    제사음식 중 전 종류 이름을 알고 싶어서요 제사 음식 전 종류중에 이렇게 생긴 전 이름이 궁금해서요 바깥에 원은 밀가루고 가운데는 돼지고기 다진 것이 들어가는데 이름이 너무 궁금하네요 제사 음식 만드는 방법 좀 가르쳐 주세요.... 안녕하세요.. 제가 제사를 차리게 됬는데.. 음식 만드는 법을 몰라서요 .. 제사상 차리는 방법과 제사 음식 만드는 방법 좀 가르쳐 주세요. 제사 음식엔 어떤게 있는지도 가르 쳐 주시구요... 특히 전이랑 국 구이 나물 등등요... 과일은 대추 ,밤, 감, 배 이것만 있으면 되나요? 제발 도와주세요.. 제사음식종류 제사음식과종류 보관방법좀알려주세요. 9월5일 저희 어머니제사를 지내야하는데요 몇년만에지내는거라..또 혼자서 지내려니 제가 생각보다 어려서 아직잘모르겟네여. 음식종류랑 필요한것 그리고 전날준비한다면 다음날까지 보관방법등 알려주세요 ㅜㅠ 첫 기일 제사음식, 도와주세요. ... 며칠 뒤가 어머님 첫 기일이신데 제사 음식의 종류엔 뭐가있을까요? 보통 명절 제사음식과 똑같이하면 되는건가요? 그리고 생전에 좋아하셨던 음식을 올려도 될까요..? 음식 종류 좀 알려주세요. 밥, 갱, 떡, 탕, 적.. 이렇게 쓰시지마시구요, 나물이면 도라지, 고사리, 숙주. 전이라면 호박전... 제사음식종류 제사 음식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요?? 제사 음식에는 어떤것들이 있는가요?? 좀 가르쳐 주세요.. 원만하면 좀 많았으면 좋겠네요...

    no1icon 0
    2025-10-14 13:31:43
    제사상 처음 준비하는데 제사음식 종류 뭐가 있는지 알려주세요^^ : 궁금증 해결은 궁금하넷